백지연 "우리나라처럼 슈퍼카 많은 나라 드물어, 명품=남을 위한 소비"
컨텐츠 정보
- 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TV리포트=이혜미 기자] 아나운서 백지연이 자수성가형 부자들의 공통점을 소개하며 '부 축적 노하우'를 대방출했다.
7일 백지연의 유튜브 채널엔 "내가 부자가 아닌 이유가 있었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 됐다.
영상 속 백지연은 "난 요즘 그게 궁금하다. 사람들이 정의하는 부자란 뭘까. 내 주변에서도 내가 이 사람 진짜 찐 부자라고 느낀 건 뭔가 큰 걸 샀는데 그게 얼마인지 기억을 못하는 사람이었다"면서 "내가 평생 생각한 부자의 정의도 그거였다. 내가 뭔가를 하고 싶은데 돈 때문에 내 꿈이 좌절되지 않는 것"이라고 입을 뗐다.
이어 "이 나이 정도 되면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어떤 경로로 안정을 이뤘는지가 보인다. 일단 첫 번째는 내가 모르는 주식을 절대 사지 않는다는 거다. 주식으로 열심히 재테크를 하지만 본인이 선택한 종목에 대해 정말 열심히 공부를 하고 확신이 설 때 과감하게 투자를 하는 거다"라고 설명했다.
백지연은 또 "우리나라처럼 슈퍼카가 많은 나라도 드물다. 우리나라보다 잘 사는 미국에 가도 '저 차도 굴러가는구나' 싶은 차들이 있다"며 "우리가 봐줄 사람이 없는데도 명품을 사겠나. 그건 아닐 거다. 그래서 남들에게 보여주는 소비는 결국 남을 위한 소비"라고 꼬집었다.
"명품사 대표들이 얼마나 부자인가. 가뜩이나 부자인 사람들을 내가 더해줄 필요 없다는 생각으로 내 소비욕구를 잠재운다"라는 것이 백지연의 설명.
그는 "부자들은 양보다 질이다. 질적인 것에 소비하지, 양적인 것에 소비하지 않는다. '이건 싸니까' '이건 귀여우니까' '이건 내 소확행' 이런 게 쌓이면 커지고 나쁜 습관을 만든다. 그래서 정말 내게 필요한지 아닌지 여러 번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수성가형 부자들은 젊은 시절 워라밸을 중요시 하지 않는다. 워라밸은 정말 중요하지만 인생에선 그 시기마다 해야 할 숙제가 있더라. 20대부터 40대까지는 축적의 시기가 있어야 한다. 50대부터 수확의 시기가 오니 그때부터 워라밸을 생각할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이혜미 기자 [email protected] / 사진 = 백지연 유튜브 캡처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