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에 찬물 뿌린 파월…트럼프와 '금리 엇박자'도 예고
본문
![971c4007567aaf245f62a93caf460844_1734584923_2927.jpg 971c4007567aaf245f62a93caf460844_1734584923_2927.jpg](https://xn--mp2b70qfeo27d.kr/data/editor/2412/971c4007567aaf245f62a93caf460844_1734584923_2927.jpg)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기준금리 인하에 속도 조절을 시사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금융통화정책에서 엇박자를 내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친(親) 가상화폐 대통령'을 공언한 트럼프 당선인의 재집권에 상승세를 이어가던 비트코인 가격도 이날 연준은 비트코인을 소유할 수 없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 이후 급락했다.
◇ 파월, 금리 속도조절 시사…저금리 선호 트럼프와 충돌하나
연준은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렸지만 내년 금리 인하 전망치는 대폭 줄이는 '매파적 인하'를 단행했다.
9월 당시 점도표(연준 인사들의 기준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에서는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0.25%포인트씩 4차례 정도로 봤지만, 이번에는 2차례 정도로 줄인 것이다.
3개월 전과 비교하면 연준의 내년 인플레이션 전망은 2.1%에서 2.5%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은 2.0%에서 2.1%로 올라갔고 실업률 전망은 4.4%에서 4.3%로 낮아졌다.
고용시장이 탄탄하고 경제 성장세가 견조한 가운데 인플레이션은 진정되지 않으면서, 금리 인하 여력이 줄어들 것으로 본 것이다.
파월 의장은 이날 "(성명서에 들어간) 금리조정 '폭'(extent)과 '시기'(timing)라는 표현을 통해 금리 추가 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시점에 도달했거나 부근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보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