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미국주식] AI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 조정
본문
국민연금은 지난해 4분기 엔비디아 등 미국 주식시장을 이끌던 주도주를 차익실현하고 '넥스트 엔비디아'가 될 종목을 발굴하는 데 주력했다.
10일 국민연금공단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분기보고서 13F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민연금은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보유 순위 1, 2, 3등인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를 각각 78만9천주, 119만6천주, 10만9천주 매도했다.
지난해 말 가격 기준으로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각각 2억달러(한화 약 2천900억원), 1억6천만달러, 4천600만달러어치 수익을 실현했다.
국민연금의 각 종목 평균 매수가를 고려하면 애플과 엔비디아로만 각각 1억3천만달러(한화 약 2천억원) 규모의 차익을 얻었다. 마이크로소프트로는 2천700만달러 차익을 봤다.
그 외에도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상위권에 속하는 메타, 알파벳, 테슬라, JP모건, 엑손 모빌, 비자, 넷플릭스 등 지난해 내내 높은 평가수익을 안겨줬던 종목들을 일부 차익실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말 미국주식에서 나온 수익을 일부 확정하는 과정에서 생긴 빈자리는 '넥스트 엔비디아'가 될만한 종목으로 채웠다. 특히 AI 하드웨어에서 AI 소프트웨어로 추세가 넘어가는 현 상황을 반영한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해석된다.
국민연금이 지난해 4분기 가장 많이 보유 비중을 늘린 미국주식 상위 5위 안에는 브로드컴, 아마존, 팔란티어, 램 리서치 등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이 이름을 올렸다.
브로드컴과 아마존을 각각 32만주(7천400만달러)와 16만3천주(3천600만달러) 순매수하며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내 보유 비중을 0.5% 늘렸다.
팔란티어와 램 리서치는 각각 194만3천주(1억5천만달러)와 303만5천주(2억2천만달러)를 사들이며 보유 비중을 0.25%와 0.21% 늘렸다.
통신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은 미국주식 투자자들이 그동안 급등한 엔비디아 외 새로운 AI 관련주를 찾는 과정에서 부각된 종목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메타와 같은 정보통신(IT) 기업들이 엔비디아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를 낮추려는 과정에서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에 강점을 가진 브로드컴이 좋은 대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잡은 브로드컴의 매력은 점차 높아지는 중이다.
김세환 KB증권 연구원은 "브로드컴의 투자 포인트는 AI 전용 칩 설계 수요 증가와 AI 기반 소프트웨어 영역 확대로 요약할 수 있다"며 "2023년 인수한 VM웨어를 통한 소프트웨어 사업도 확장세"라고 말했다.
팔란티어도 소프트웨어 기업 중 매출 대부분이 AI에서 발생하는 희소성 있는 기업으로 평가된다.
심지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주도 테마 중 하나는 IT 소프트웨어로, 지난해 AI 도입 초기 붐에 이어 올해는 구체적으로 어느 기업이 AI 채택·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일어날지 관찰해야 한다"며 "팔란티어는 AI 수익화가 가장 빠르게 관찰되는 소프트웨어 기업"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