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근황 ... jpg
컨텐츠 정보
- 1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1차 휴전 협정 이후
3월 18일부터 다시 이스라엘의 공습이 재개됨.
휴전 연장 협정에서
이스라엘은 ' 병력 일부를 가자지구에 남긴 채 1차 휴전을 연장 하자 ' 였고
하마스측은 '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하마스가 인질 전원 송환하겠다 ' 주장
이에 협정이 결렬되고 전쟁이 재개된 상황.
[ 이스라엘은 가자 점령할 계획 준비 ]

이제 이스라엘측은 더 강경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함
2005년 평화협정 체결이후 가자지구에서 공식 철수한 지 20년 만에
다시 가자지구 완전 점령 계획이 힘을 받고 있다고 함.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전쟁 직후 1967년부터 약 40년간 가자 지구 점령했었음)
이 계획에는 가자지역을 대부분 비우고, 가자 주민 200만명을 인도주의 구역에 보내 식량 원조를 제공하는
방안도 있다고 함. 실제로 이스라엘군은 최근 팔레스타인 주민 1인당 섭취할 칼로리 계산도 했다고
[ 이스라엘군의 새로운 국방부 국장 '에얄 자미르' ]

이 계획들을 현재 네타냐후 정부내 강경파의 지원이 있다고 함
휴전 기간 동안 하마스가 장악력을 회복하는 양상을 보이자
강경파들이 불만이 커진 상황.
[ IDF에서 계속 하마스 고위직 하나둘 제거중 ]

예루살렘포스트에서
휴전 이후의 전쟁은 무엇이 달려졌는가 기사를 썼는데
1 .미국 행정부 교체 (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 )
2.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로 들어가는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
3. 하마스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저항의 축' 약화 등 역내 정세 변화
4. 이스라엘 군을 이끄는 내부 인사들의 교체
5. 하마스의 자체적 세력이 약해졌다는 것
을 지적.
실제로 하마스는 지금 다시 휴전 협정에 열려 있다고 하자는 스탠스지만
이스라엘은 이번 기회에 다시 끝을보자는 분위기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