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살률, 공중보건 국가비상사태"
컨텐츠 정보
- 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수원서 일가족 4명 숨진 채 발견'(3월9일).
'일산서 8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남편·아들 자살 시도'(3월4일).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59471?sid=102
'충북 보은서 초등생 자녀 2명과 극단선택 시도한 친모 긴급체포'(2월17일)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가 13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새해 들어서도 극단적 선택 사례가 끊이지 않으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생활고, 간병고, 우울증 등 다양한 배경이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자살이 전염병이 아님에도 전염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금 당장 비극의 악순환을 끊어내야 한다고 말한다. 배우 김새론 등 유명인의 잇따른 극단적 선택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도 심각성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백종우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12일 "공중보건 측면에서 현재 한국의 자살률을 보면 국가비상사태라고 볼 수 있다"며 "자살은 지극히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막을 수 있는 죽음이다"라고 짚었다.
또 오강섭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금 자살 고위험군들엔 빨간불이 켜진 셈"이라며 "경기 변동성이 크고 불확실성이 높을 때일수록 자살 위험도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